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61

2023년 촬영한 이미지 모음 1, https://www.youtube.com/watch?v=G-zHgk5e_tQ 2023년 촬영한 이미지 모음 200경 2023. 12. 22.
철새들의 낙원 화포천 화포천습지생태공원은 화포천을 따라 크게 두 번 굽이치며 서에서 동으로 길게 이어지는데 물이 흐르는 곳마다 새로운 경관을 만들고 매월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어 항상 신선하고 아름다운 곳이다, 2023. 12. 12.
고등어 선단 궤적 고등어 선단은 떼 지어 다니고, 불을 좋아하는 고등어의 특성을 십분 활용하여 각자의 역할을 가지고 있다.고등어를 유인하기 위한 등선 2척, 신선한 고등어를 육지로 바로 전달하는 운반선 3척, 그리고 모든 일을 총괄하는 본선 1척까지. 6척으로 이루어진다. 2023. 12. 11.
창원 진해 내수면 환경 생태공원 12월 2023. 12. 6.
내수면 환경 생태공원 은빛 물결의 물억새는 가을바람에 더욱 빛났다. 인공섬 앞 전망대는 물고기의 헤엄치는 모습들이 포착된다. 도심 속 숨겨진 내수면 환경 생태공원은 시민들의 숲이며 사계절 자연을 오롯이 느낄 수 있는 곳이다. 2023. 12. 5.
빛의 아름다움 저무는 해/글. 신윤호 저물어가는 이한해도 새로이 떠오르는 태양도 제마음을 떠오르는듯 그토록 휘날리던 나뭇잎 흗날리는소리 쓸쓸하면서도 그리운 여운을 남깁니다. 아쉬움과 초조함에도 소중한 옛친구 스친다 아름다운 미소로 지나는해 온세상이 퇴색해 떠나가듯 부끄러운 진난날을 뒤돌아 보아 청정한 삶을 이루지 못하고 보내는 아쉬움 허영과 욕심만 가득찬 마음을 돌아보게 한다 지녓던 마음 다하지 못하고 보내야하는 지는해 2023. 11. 28.
월류봉 여명 월류봉은 충북 영동군 황간면 원촌리에 자리한 407m의 봉우리로 한천팔경(寒泉八景)중 하나다. 달도 머물다 간다는 월류봉(月留峰)의 봉우리 이름은 달이 능선을 따라 물 흐르듯 기운다는 모습에서 유래됐다. 봉우리 꼭대기에는 월류정이 자리하고 있다. 2023. 11. 24.
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북부리 팽나무 11월 창원 북부리 팽나무 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있는 조선시대에 심은 팽나무이다. 과거부터 창원 동부마을 지역 사람들의 신목으로 마을을 지키는 노릇을 해왔던 이 나무는 2022년 드라마 에 등장하며 우영우 팽나무라는 명칭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따라 실제 동부마을 팽나무에 대한 가치 및 보존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자, 문화재청에서 2022년 10월 7일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했다. 매일 좋을 수는 없지만 매일 웃을 수는 있지요 오늘도 활짝 웃는 시간 되세요! 2023. 11. 23.
송정 여명과 일출 오늘이란 말은 싱그러운 꽃처럼 풋풋하고 생동감을 안겨줍니다! 2023. 11. 19.
여자 나이와 과일 2023. 11. 12.
대산 플라워 랜드 11월 4년 전 낙동강변 모래땅에서 대산면민과 직원들의 땀방울로 터를 닦은 대산플라워랜드는 시민의 휴식 공간이자 지역의 숨은 명소로 알려져 있었으나, 10월 주말 하루평균 1만여 명이 넘는 방문객이 찾으며 창원시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했다. 11월 백만송이의 아름다운 국화가 핑크뮬리와 함께 장관을 이루고 있다. 매일 좋을 수는 없지만 매일 웃을 수는 있지요 오늘도 활짝 웃는 시간 되세요! 2023. 11. 12.
경주 분황사 가을 풍경 분황사(芬皇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1교구 본사 불국사의 말사이다. 분황사는 황룡사지와 잇닿아 있으면서 국보로 지정돼 있는 모전석탑으로도 유명하다. 선덕여왕 3년(634)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우리 민족이 낳은 위대한 고승 원효와 자장이 거쳐간 사찰로 명성이 높다 (백과사전에서) 매일 좋을 수는 없지만 매일 웃을 수는 있지요 오늘도 활짝 웃는 시간 되세요! 2023. 11. 11.
2023 제1회 DI관리센터 사진공모전 2023 제1회 DI관리센터 사진공모전 동상 2023. 11. 10.
2023 제1회 베스트사진 공모전 2023 제1회 베스트사진 공모전 동상 2023. 11. 10.
2023 제1회 일반정회원 사진공모전 2023 제1회 일반정회원 사진공모전 가작 2023. 11. 10.
2022 제1회 일반회원 사진 공모전 2022 제1회 일반회원 사진 공모전 가작 2023. 11. 10.
월류봉 가을 황간면 원촌리 석천에서 보는 월류봉 가을 풍경, 2023. 11. 10.
낙동강 하굿둑 야경 다대 8경 중 하나인 '삼도귀범'을 형상화한 것인데 다대포 앞바다의 쥐섬, 솔섬, 오리섬에서 낙조를 뒤로하고 돌아오는 돛단배의 모습을 의미한다. 제비의 힘찬 비상, 백로의 날개짓, 파랑새의 지저귐, 청둥오리의 물장구 등을 주제로 빛 연출, 풍속에 따라 램프 색이 바뀌는 '바람의 빛' 그냥 조명을 켜는 게 아니라 나름의 의미와 이야기가 담아 있다. 2023. 11. 9.
댑싸리 황산문화체육공원 국민여가캠핑장은 낙동강의 수려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경남, 부산, 울산지역의 가족단위 캠핑장으로 일명 명품공원 캠핑장으로 알려져 있다. 캠핑장 사이트는 오토캠핑장 36면, 일반캠핑장 75면이 있으며, 화장실, 샤워장, 개수대가 갖춰져 있다. 모든 편의시설들이 깨끗하게 잘 관리되고 있다. 황산문화체육공원은 캠핑장 외에도 파크골프장, 자전거도로, 강변산책로와 운동시설 등을 갖춘 종합공원으로 워낙 넓어 둘러보는 시간이 3시간 가량 걸린다. 무엇보다 넓은 공간에 조성된 캠핑장이다 보니 어린이들이 마음껏 뛰고 달릴 수 있어 좋다. 킥보드와 인라인, 자전거 등을 탈 수 있다. 봄에 어린잎과 줄기를 따서 나물로 먹으며, 줄기는 이뇨제로, 열매는 강장제로 쓰기도 한다. 씨는 물에 불린 뒤 삶으면 통통해.. 2023. 11. 7.
울산 바위 가을 미시령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미시파령(彌時坡嶺)이라는 이름으로 그 기록이 남아 있다. 즉, 이전부터 존재했던 고개였는데 길이 험하고 산세가 가파랐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다가 성종 때부터 다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이 고개는 사용과 폐쇄를 거듭하다가, 1950년경 자동차가 다닐 수 있게 뚫린 뒤, 한국 전쟁 이후 국군 공병단에 의해 관리되며 군 작전용 도로로 사용되다가, 1989년에 국제부흥개발은행의 차관에 따른 왕복 2차선 확·포장 공사의 완공 후 민간에게 개방되었다. 2023. 11. 6.
가평 자라섬 주경 자라섬테마파크는 서울 근교의 종합 수상스포츠레저타운으로 사계절 내내 다양한 축제 및 수상레저 스포츠 카누, 오리배, 수상자전거, 래프팅, 야외수영장을 즐길 수 있다. 2023. 11. 4.
자라섬 전경 자라섬테마파크는 서울 근교의 종합 수상스포츠레저타운으로 사계절 내내 다양한 축제 및 수상레저 스포츠 카누, 오리배, 수상자전거, 래프팅, 야외수영장을 즐길 수 있다. 또한 스포츠를 즐기면서 먹는 치킨, 피자 등 다양한 먹거리는 사랑과 낭만이 샘솟는 자라섬테마파크에서 즐거운 추억을 만들 것이다. 2023. 11. 2.
한계령 가을 태백산맥의 설악산(1,708m)과 점봉산(點鳳山, 1,424m) 사이에 있는 안부(鞍部)이다. 고개 동쪽은 태백산맥의 동해 사면으로 경사가 급하고, 오색과 양양을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남대천 계곡으로 이어진다. 서쪽은 북한강 지류인 소양강 상류에서 동쪽으로 분기하는 북천 계곡과 연결된다. 도로는 이들 계곡을 따라 뻗어 있다. 옛날에는 소동라령(所東羅嶺)이라고도 불렸으며, 해안과 내륙을 잇는 험한 고개였다. 2023. 11. 1.
아침 이슬과 거미줄 공기 중의 수증기가 기온이 내려가거나 찬 물체에 부딪힐 때 엉겨 생긴 물방울. 서늘한 밤이나 아침에 풀잎이나 꽃잎 따위에 맺힌다. 2023. 10. 31.